모호성, 진리, 논리 (Fine 1975)
이 논문에서 키트 파인은 모호성을 위한 의미론을 전개한다.
하이브리드 언어: 세계를 언급하기
이 글에서는 패트릭 블랙번에 의해 구상된, ‘하이브리드 언어’의 배경과 목적을 살핀 뒤 하이브리드 언어를 정의하는 방법과 하이브리드 언어에 도입될 수 있는 연산자의 종류를 살펴본다.
“알다”와 “know”
여기에서 우리는 "알다"와 "know"가 서로 다른 개념을 표현하는 듯 보이는 사례를 살피고, 여기에서의 혼란을 해소할 것이다.
1차 양화 논리 (2): 1차 양화 논리의 의미론
이 글에서 우리는 \(\mathcal{L}_{Qt}\)의 해석과 평가를 정의하고, 그리고 이를 위해 모형 개념과 모형에서 참 개념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1차 양화 논리 (1): 1차 양화 논리의 계기와 구문론
이 글에서 우리는 우리의 보완된 논리 체계, 1차 양화 논리에 필요한 사항과, 그 논리 체계의 구문론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명제 논리 (4): 자연어 논증의 형식화와 평가
이 글에서 우리는 자연어로 구성된 논증을 \(Pr\)의 논증으로 번역한 뒤 이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 보고, 명제 논리가 갖는 표현력 상의 한계에 관해 논할 것이다.
명제 논리 (3): 타당성, 건전성, 완전성
이 글에서 우리는 논리학에서의 타당성 개념 및 명제 논리에서 논증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해 논하고, 이어 \(Pr\)이 갖는 두 성질인 건전성과 완전성에 대한 증명을 개관할 것이다.
명제 논리 (2): 명제 논리의 구문론과 의미론, 증명 체계
이 글에서 우리는 형식 체계로서 명제 논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개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