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Carnapian'
신카르납주의는 오늘날 영미권 철학계에서 아주 빈번히 등장하는 분류이다. 이들은 존재론을 보다 연질의soft, 가벼운lightweight 것으로 간주한다. 이들은 양화사나 개념에 있어 가소성 내지 상대성이 원리적으로 보장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진지한 문제란 존재론 내적internal 문제일 뿐이며, 존재론 외적external 문제는 상당히 사소한 것 내지 어쩌면 사이비 문제에 불과할 것임에 동의한다. 그리고 나 또한 이들의 방향성에 찬동한다. 따라서 나도 신카르납주의자일 것이다.
그런데 국내 문헌에서 이 분류가 언급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가능성은 아마도 둘이다. 우선 존재론적 다원주의 내지 연질 존재론에 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세미나는 물론 논문 자체가 이 주제들에 관해 언급하는 경우를 거의 본 적 없다. 특정 인물(카르납, 퍼트남, 콰인, 데이빗슨, 로티, …)을 소개하는 중에 그 인물의 핵심적 사상이라는 이유로 딸려 적히곤 할 뿐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카르납의 위상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분석철학 전문가들은 물론 카르납의 논문 몇 편을 이미 읽은 사람들이지만, 카르납의 존재론적 측면, 특히나 Aufbau에서 그려지는 측면에 집중적으로 연구한 적이 있지는 않아 보인다.
최근에서야 나는 나의 정체성(?)을 신카르납주의자로 간주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되었으니 신카르납주의의 생각을 옹호할 필요도 있다. 그러나 내가 무엇을 옹호해야 하는지 자체가 많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내가 무엇을 옹호하는지를 어필하기 위해 선결해야 할 이런 저런 작업들을 요한다. 왜 어떤 주장은 이론 내적으로만 타당한가? 왜 콰인주의자들은 카르납주의를 논박하지 못하는가? 왜 이 주장은 여전히 실재론적인가? 등등에 관한 해명이 여기에 개입할 것이다.
카르납 및 카르납주의자들의 글을 읽는 모임을 꾸리는 것은 어떨까 생각이 든다. 이름도 정해 놓았다. “졸음쉼터: Car-n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