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Jax와 자연 연역
Fitch style proof나 truth tree proof (tableaux method) 등을 통한 자연 연역 표기를 \(\LaTeX\)에서는 패키지 추가를 통해 할 수 있는데, 유감스럽게도 MathJax는 관련 익스텐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래서 여러 방법을 고민해 보았다.
웹 폰트에 이탤릭이 적용 안 되었던 이유
Google fonts에서 분명 폰트의 소스를 긁어왔는데도 특정 스타일이 적용 안 될 때 확인해야 할 사항.
MathJax를 반응형으로 구현하기
MathJax에서 구현한 수식이 너무 길어서 화면의 범위를 벗어날 때, 스크롤을 통해 수식을 볼 수 있게끔 CSS를 수정하는 법.
명제 논리 (4): 자연어 논증의 형식화와 평가
이 글에서 우리는 자연어로 구성된 논증을 \(Pr\)의 논증으로 번역한 뒤 이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 보고, 명제 논리가 갖는 표현력 상의 한계에 관해 논할 것이다.
명제 논리 (3): 타당성, 건전성, 완전성
이 글에서 우리는 논리학에서의 타당성 개념 및 명제 논리에서 논증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해 논하고, 이어 \(Pr\)이 갖는 두 성질인 건전성과 완전성에 대한 증명을 개관할 것이다.
명제 논리 (2): 명제 논리의 구문론과 의미론, 증명 체계
이 글에서 우리는 형식 체계로서 명제 논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개괄할 것이다.
명제 논리 (1): 명제 논리란?
이 글에서 우리는 명제 논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명제 논리를 구성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아볼 것이다.
\(\TeX\) 환경에서 (Lewisian) Counterfactual operators 입력을 위한 팁
\(\LaTeX\) 환경 및 동일한 문법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루이스 스타일의 반사실 연산자를 쓰는 법.
겐첸 시스템을 MathJax로! bussproofs
bussproofs 패키지를 통해 여러 가지 증명들을 MathJax 환경 및 \(\LaTeX\) 문법을 지원하는 환경들에서 표현할 수 있다.
의미에 의한 진리 - 3부 (Russell 2008)
질리언 러셀의 2008년 저작, Truth in virtue of Meaning은 제목 그대로 의미에 의한 진리, 즉 "분석적 진리"의 문제를 다룬다. 끝으로, 3부에서 그는 분석적 정당화에 관해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 및 그의 이론이 이 쟁점들에 대해 시사하는 흥미로운 귀결들을 소개하며 책을 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