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 환경에서 (Lewisian) Counterfactual operators 입력을 위한 팁

\(\LaTeX\) 환경 및 동일한 문법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루이스 스타일의 반사실 연산자를 쓰는 법.

기본적으로, \(\TeX\) 환경 및 동일한 문법을 지원하는 환경(예컨대, MathJax)에는 루이스 스타일의 반사실 연산자(\(\counterfactual\) 및 \(\countermight\))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타입세팅이 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해외 포럼을 찾아 보니, 다음과 같이 \newcommand를 이용해 \(\counterfactual\)과 \(\countermight\)를 정의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었다.

$$\newcommand{\counterfactual}
{\Box\kern-1.5pt\raise1pt\hbox{$\mathord{\rightarrow}$}}
\newcommand{\countermight}
{\mathord{\Diamond}\kern-1.5pt\raise0.5pt\hbox{$\mathord{\rightarrow}$}}$$

사이트 헤더에 이 코드를 넣으면 사이트 전역에서 \counterfactual과 \countermight를 통해 \(\counterfactual\)과 \(\countermight\)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문제는 이 코드를 그대로 헤더에 넣을 경우 사이트 로드 과정에서 사이트 상단에 해당 로고가 노출된다는 점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display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

<div id="texcommand" style="display:none">
$$\newcommand{\counterfactual}
{\Box\kern-1.5pt\raise1pt\hbox{$\mathord{\rightarrow}$}}
\newcommand{\countermight}
{\mathord{\Diamond}\kern-1.5pt\raise0.5pt\hbox{$\mathord{\rightarrow}$}}$$
</div>

Read more

진리확정자 그리고 두 종류의 현실주의

가브리엘 콘테사는 이 논문에서 양상 현실주의를 '순한맛'(softcore) 현실주의와 '매운맛'(hardcore) 현실주의로 구별한다. 전자는 스톨네이커로 대표되는 전통적 현실주의이고, 후자는 성향주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현실주의이다. 저자는 후자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고 전자에 대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매운맛 현실주의를 옹호하고자 시도한다.

변화들: 다시 여는 말

블로그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1. 주소를 바꿨다(https://philtoday.kr).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고, 뉴스레터와 연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계획하던 생각이다. 이에 맞추어 외부용 메일(wj@)과 뉴스레터용 메일(newsletter@) 역시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명함에 반영해야지. 2. 블로그 이름도 바꿨다. “백야”를 버리고 “오늘의 철학”으로 왔다. 사적인 공간의 이름이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