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들

  • 크래머의 “해석학 비판: 해석철학과 실재론”을 읽는다. 독일 철학과 프랑스 철학을 주로 잇대는 우리의 경향에는 의아하게도, 그는 콰인과 로티, 데이빗슨과 퍼트남, 그리고 굿맨을 먼저 언급한다.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적어도 앵글로색슨과 게르만, 로망스가 한 데 얽힌다.
  • 해석이라는 주제, 특히 해석의 다원성으로부터 나오는 존재/인식적 상대론에 대한 문제는 세 이질적 철학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세 철학은 하나가 될 수는 없어 보인다. 각 철학이 뿌리내리는 근거가 다른 탓이다. 영미철학은 프레게와 러셀, 콰인에게 근거한다. 독일철학은 훗설과 하이데거, 가다머에게 근거한다. 프랑스 철학은 소쉬르와 베르그손, 라캉에게 근거한다. 각 문화가 조금씩 공유하는 지평은 있으나(동시에 도버 해협 사이에는 직접적 연관이 없지만) 결정적으로 셋은 다른 체계이다.
  • 그러나 국내의 전공자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합은 잘 드러나지 않는 듯하다. 기껏해야 프랑스 철학에 뿌리내린 사람이 하이데거나 훗설의 글을 참조한다. 신학자는 프랑스와 독일의 철학에 많은 빚을 진다. 영미철학자는 (몇 예외를 제외하면) 유럽 철학자들의 글을 크게 다루지 않는다.
  • 그렇다고 한국 철학과 그 철학들의 접점을 찾는가? 그렇지도 않다. 기껏해야 “~에서도 ~가 발견된다”라는 국뽕 가득한 참조이다. (풍경 선생의 시도들은 여기에서 예외이다.)
  • 나는 어디에 뿌리내리는가. 자유교양은 프랑스 철학과 마르크시즘에, 연세신학은 독일과 프랑스에, 나 개인은 앵글로색슨(-오스트레일리안)에 뿌리를 갖는다. 그렇다보니 나오는 결과물도 짬뽕이다. 언젠가는 이것을 내 강점으로 여겼다. 그런데 지금은 다소 복잡해졌다. 국내에서 접할 주제를 찾지 못하겠는 탓이다

Read more

진리확정자 그리고 두 종류의 현실주의

가브리엘 콘테사는 이 논문에서 양상 현실주의를 '순한맛'(softcore) 현실주의와 '매운맛'(hardcore) 현실주의로 구별한다. 전자는 스톨네이커로 대표되는 전통적 현실주의이고, 후자는 성향주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현실주의이다. 저자는 후자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고 전자에 대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매운맛 현실주의를 옹호하고자 시도한다.

변화들: 다시 여는 말

블로그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1. 주소를 바꿨다(https://philtoday.kr).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고, 뉴스레터와 연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계획하던 생각이다. 이에 맞추어 외부용 메일(wj@)과 뉴스레터용 메일(newsletter@) 역시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명함에 반영해야지. 2. 블로그 이름도 바꿨다. “백야”를 버리고 “오늘의 철학”으로 왔다. 사적인 공간의 이름이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