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표상하는 것이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없다. 모든 사건은 그것의 고유한 시간과 공간 안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건을 우리가 재현한다는 것은,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그 시기로 돌아가거나, 특정한 매체를 통해 바로 그 고유성을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재현은 불가능하다. 적어도 물리적으로 그렇다. (나는 또한 형이상학적으로도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 사건과 결부된 어떠한 사태를 표상한다. “세월호”라는 이름을 통해 사슬을 형성하는 어떠한 사건이 있다. 그 사건을 기억한다는 것은, 바로 그것에 우리가 결부하는 어떠한 사태를 표상한다는 것이다. 이 표상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지는 고정되지 않는다. 어떤 사태가 표상될지는 그것을 표상하는 공동체에 따라 상대적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기억은 맥락 의존적인 표상이다.
누군가는 아주 일반화된 사고로서, 모든 수운 사고에 세월호를 결부할 수도 있다. 이 때 세월호에 있는 여러 주관적 의미는 희석될 것이다. 이렇게 고찰되는 세월호는 그저 “모종의 일로 침몰한 모종의 배”로 남을 것이다. (물론 어떠한 이름이 바로 그 대상에게 주는 구별짓기의 효과를 생각할 때, 이러한 방식의 사고는 합리적이지 않다고밖에 생각될 수 없다. 그럼에도 그런 사람들은 정말로 있다.)
또 누군가는 단칭적인 사고로서, 이러저러한 바로 그 배의 사고로 세월호를 결부할 수 있다. 이 때는 주관적 의미가 희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단 하나의 의미로 그 주관성이 고정되지는 않는다. 어떤 주관적 맥락으로 해석할지 자체가 특정한 맥락에 의존되는 표상으로 그 결부함을 특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세월호 사건을 국가의 실책으로 커진 사건들 중 하나와 결부하며 사고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된 맥락은 국가의 사고 대처를 비판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세월호는 국가의 안전 보장 의무 위반에 대한 상징이다. 세월호에 대한 기억은 국가의 안일한 대처와 떨어져서 이루어질 수 없다. 이렇게 고찰될 때 세월호를 말한다는 것은 국가의 안전 보장 의무를 역설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누군가는 세월호 탑승자들을 바로 그 탑승자들의 가족이나 친구, 동료를 통해 맥락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고정을 하는 이의 의도는, 대부분 바로 그 친밀한 이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것이다. 이 때 세월호는 “친밀한 사람이 그 이유를 알 수 없게 희생당한 일”로 기억된다. (물론 이 기억의 주체는 실제 그 가족이나 친구, 동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억 방식은 그들에 대해 느끼는 비통함이라는, 특정한 애도 방식을 낳는다.
또 다른 누군가는 세월호 탑승자들의 죽음을 인간의 죽음 일반과 맥락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이 때 세월호는 죽음으로 상징되는, 이른바 “부조리한 악의 경험” 일반을 상징하게 된다. 세월호란 도대체 정의롭다고 할 수 없는 악의 사건이 현현한 그러한 것으로 기억되는 것이다. 이 때엔 상당히 형이상학적인 한탄과, 그 때의 일반화된 윤리적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사고가 이어진다.
이 중 어떤 사고 방식이 세월호에 관한 참된 사고인가? 이 질문은 사실 옳지 않다. 사고되는 것은 세월호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세월호라는 이름으로 표상되는 어떤 다른 대상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세월호 또한 바로 그 대상으로 표상될 수는 있겠지만, 그 배의 형이상학적 본질이 무엇인지에 관한 인식론적 정당화 방식은 우리에게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우리가 생각하는 바로 그 배의 존재 양식에 따라 그것과 결부한 나름의 기억 내지 애도를 하게 된다.
따라서 고쳐진 질문은, “어떻게 세월호를 기억하는 것이 더 윤리적인가?”이다. 나는 여기에서 물어지는 “더 윤리적”인 방식은 다름 아니라 칸트의 “간접 의무”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세월호를 기억하는 것이 우리를 더 윤리적인 주체들로 고양시키는지, 이것이 중요하다. 만일 우리가 세월호를 수많은 수운 사고 중 하나로 여긴다면, 우리는 그것을 표본 삼아 모든 수운 사고를 무덤덤히 볼 것이다. 애도하지 않음은 윤리적이지 않다. 고로 이러한 방식은 지양되어야 한다. … 이런 식으로 다른 방식들 역시 검토된다.
물론 어떤 경우에도 세월호 그 자체와 우리의 세월호에 관한 사고가 동일시될 수 없으며, 이를 항상 숙지하고 있는 것이 맞는 처사일 터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우리가 생각한 “세월호됨”을 다른 이에게도 세월호의 본질로 여기길 강요하게 될 것이며, 무엇보다 바로 그 사건에 의해 현실적인 역경을 겪은 이들에 대한 폭력을 낳을 것이다. 심지어 우리는 이러한 점을 잊을 때 “진실”이라는 곳에도 다가갈 수 없다.
(이렇게 고찰하는 세월호는, 우상화된 것의 표본으로 다루어지는 셈이다. 우리는 어떤 것, 예컨대 그리스도라든지 떨기나무, “최초의 인간” 등을 우상화하며, 그것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를 그것이 최초에 지시했던 바로 그 대상과 동일시하려 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동일시에서 우리가 얻을 것은 별로 없고 잃을 것은 많다. 더구나 그 동일시를 통해 이 세계에 정말로 벌어진, 그 사건과 인과적 매개를 갖는 사건들의 의미를 축소하게 되는 경우들이 많다. 그러한 축소를 하지 않는 것이 진리와 윤리에 관한 바른 태도라는 것이 하나의 단상⎯물론 논증이라고 할 수는 없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