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강림 혹은 부활

  • 성령강림주일을 맞는다. 동시에 이한열의 죽음을 맞는다. 동시에 동료 친지의 부고를 맞는다.
  • 성령의 강림과 성도의 죽음은 어떠한 관계도 없어보인다. 그러나 실상 그 둘의 관계는 어떤 것보다 긴밀하다. 성령 강림 사건은 예수의 죽음 후에야 찾아왔다. 단지 시간 상으로만 이후인 것이 아니다. 예수의 죽음을 애도하는 바로 그 때 사건이 일어난다.
  • 성령 강림의 사건은 예수의 죽음에 대해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지체들은 형제된 예수의 죽음이 그의 형상이 소멸되었음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그가 지체 가운데에서 부활했음을 본격적으로 확신하기 시작한다.
  • 복음서 사가들, 특히 누가의 증언에 따라서만 생각하자면 성령은 사도들이 젊을 적 강림했으며 예수는 죽자마자 형상을 질료 속에 실현해 제자들에게 나타났다.
  • 그러나 마가의 두 종결은 이러한 증언이 역사적 사실이냐는 데에 의심을 갖게끔 한다. 마가의 짧은 종결은 제자들이 예수의 무덤에 갔더니 그의 몸이 없더라는 열린 결말이다. 반면 긴 종결은 우리가 익히 아는, 그의 부활 사건을 증거한다.
  • 만일 복음서의 부활에 관한 증언과 누가의 성령에 관한 증언이 역사적 사실이라면 이 두 종결은 이해하기 쉽지 않다. 성령 강림이나 예수의 실체적 부활에 의해 그의 부활이 확증되었음에도 짧은 종결을 택한 공동체는 그의 부활을 복음으로 전하지 않았다는 역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예수의 부활은 차라리 성령 사건 이후, 과거의 경험을 신앙적 사건으로 회고하면서 발견된 바라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은가? 도마의 극적인 회심은 오히려 그러한 회고 과정에 추가된 모종의 구성된 서사 아닌가?
  • 이렇게 생각할 때, 성령의 강림은 단지 예수에 대한 애도와 우연적 연접을 갖는 것이 아니다. 성령의 강림은 오히려 예수에 대한 애도가 그친 사건과 동일한 사건에 해당한다.
  • 성령은 모든 삶의 정황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게 한다. 그 의미의 발견을 통해 우리는 죽음을 우리의 슬픔과 동일시하지 않게 된다. 이어지는 것은 우리 가운데에 넘치는 생명이다. 그 생명을 통해 죽은 이의 형상을 실현한다. 영생은 그런 식으로 이어지는 생의 흐름일 터이다.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