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고립적이지 않기 위하여

모든 운동에는 두 흐름이 형성되기 마련이다. 한쪽의 사람들은 공동체의 언어로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신앙, 우리의 신념, 우리의 느낌을 우리가 알아들을 수 있는 기호로 소통한다면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한다. 한편 다른 이들은 그것으로는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우리의 신앙과 신념, 느낌을 사적인 기호가 아니라 공적인 언어로 풀어낼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신념이 옳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교에서는, 전자는 신비주의가, 후자는 합리주의가 이러한 태도를 표현한다. 신비주의자들은 자신의 주장을 밖으로 표현하는 데에 별 관심이 없다. 하지만 합리주의자는 호교론의 입장에서 강하게 우리의 신념을 표현하여야만 공동체를 지킬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계급투쟁에서는 특정 집단을 배제해야하는지의 여부가 이 태도로부터 갈린다. 배제주의자는 우리가 직관적으로 공감 가능한 것들만 이야기해도 우리의 정체성이 유지되므로, 상관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포용주의자 내지 확장주의자는 모두가 알아들을 수 있는 이야기를 해야만 투쟁이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외재적 정당화를 해야만 하냐는 것이다. 정당화해야 한다는 것은 공동체 밖 사람들에게 자신의 믿음이 옳음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당화에 성공한다면 공동체는 모든 사람들을 자기 편으로 모을 수 있다. 실패한다면 공동체는 사이비 조직이 되고 만다. 정당화하지 않는다면 공동체는 그 고유한 색깔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당화를 수행한다면 신비스러운 공동체의 언어를 공동체 밖의 공공 언어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그 언어의 신비는 다소 후퇴할 것이다. 그렇다면 공동체의 언어 내지 신념은 다소 흐릿해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생각할 때, 정당화는 일종의 도박이다. 분명 잃을 것이 있고, 얻을 것이 있는지는 불투명하다. 그렇다면 굳이 왜 정당화를 시도해야 하는가? 우리는 우리 신념을 지키면 되고, 굳이 세를 넓혀야 한다면 의지, 끈기, 무력과 같은 비-신념적 수단으로 넓히면 되는 것 아닌가? ⎯ 이것이 배제주의자, 축소주의자, 신비주의자의 일반적 주장이다. 단점은 많고 장점은 적은 선택지를 고를 이유가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정당화를 시도해야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무엇보다 어떤 공동체도 일상언어 공동체 내부에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하나의 공동체는 일상언어 공동체라는 거대한 의미장의 한 양태일 뿐, 독립된 모임이 아니다. 모든 공동체원은 일상언어 공동체의 일원이며, 공동체의 언어는 일상언어의 문법을 따라간다. 그렇다면 일상언어에 적용되는 법칙들도 여럿 갖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일상언어의 문법으로 정당화되는 신념이 아니라면 그 신념은 위태롭다.

위태롭지 않으려면 방법은 둘이다. 자기고립적이 되거나, 정당성을 증명하거나. 전자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미 우리 언어는 자기고립적일 수 없으며, 더 나아가 자기고립적인 공동체는 참되게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언어의 본질인 소통에 있어서, 소통의 범위가 확장될 수 없으므로 그 공동체는 죽어가는 공동체가 된다. 그래서 차라리 증명하고, 번역하고, 설명해야 한다. 그것의 위험이 있더라도 말이다.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