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반기 이야기

최근의 여정은 이랬다:

  • 지난 1학기에 종합시험을 통과한 뒤 학위논문에 착수했다.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이 종교들에 대한 철학에 있어 갖는 다원주의적 함의를 밝힌 뒤 내재적 실재론을 옹호하는 것이 논문의 골자였다. 퍼트남에 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외부 교수님을 부심으로 초빙했는데, 한편으로는 이 덕에 뿌듯한 연구가 가능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때문에 졸업이 곤경에 빠질 뻔했다. 지금은 학위논문 최종 통과를 위해 서면 심사 통지를 기다리는 중.
  • 기다리는 사이 박사과정에 지원했다. 유학에 큰 뜻이 없어서 자교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했다. 연구는 마찬가지로 신카르납주의 계통의 모델에 관한 것에 방향성을 둘 듯 싶다. 다만 우리 학교는 물론 국내에 신카르납주의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신 분이 눈에 띄지는 않는 듯하다. UIC에 계신 CC 교수님들과 좀 교류를 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렇든 저렇든 박사논문은 영어로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목회자 과정은 그만두기로 결심했다. 이달 말까지만 일하고 교회 또한 그만두는 것으로 이야기했다. 다들 어려운 결정 아니냐며 놀라지만, 한편으로는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었다. 자주 하던 고민에 결판을 지은 것 뿐이었어서.. 군 문제 등이 조금 걸리긴 하는데, 일단 박사과정을 하면서 최대한 미룰 생각이다. 생활비는 어쩌지.
  • 지난주에 학위논문 최종 원고를 제출했다. 제출하자마자 몸과 마음에 긴장이 풀렸는지 잠도 칼같이 안 자게 되고, 와우도 다시 시작했다. 이렇게 겨울만 좀 뻐기다가.. 2월즈음 본격적으로 연구에 복귀해야지 싶다.
  • 친구 H는 (학부생에다가 지금은 군인인데도) 한 국내 저널에 이달 논문을 올렸다. 나도 좀 일찍 그런 경험을 해 볼 걸 하는 생각이 들며 부럽기도 하고 샘나기도 하고.. 뭐 그렇다 쩝쩝.. H에게 지적 도전을 여럿 받는 하반기였다.
  • 여튼 어서 졸업을 하고 싶다는 그런 마음으로 지내는 하루들이다.

Read more

진리확정자 그리고 두 종류의 현실주의

가브리엘 콘테사는 이 논문에서 양상 현실주의를 '순한맛'(softcore) 현실주의와 '매운맛'(hardcore) 현실주의로 구별한다. 전자는 스톨네이커로 대표되는 전통적 현실주의이고, 후자는 성향주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현실주의이다. 저자는 후자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고 전자에 대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매운맛 현실주의를 옹호하고자 시도한다.

변화들: 다시 여는 말

블로그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1. 주소를 바꿨다(https://philtoday.kr).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고, 뉴스레터와 연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계획하던 생각이다. 이에 맞추어 외부용 메일(wj@)과 뉴스레터용 메일(newsletter@) 역시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명함에 반영해야지. 2. 블로그 이름도 바꿨다. “백야”를 버리고 “오늘의 철학”으로 왔다. 사적인 공간의 이름이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