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Gallary

디씨인사이드 말고, 데이빗 챠머스. 챠머스의 홈페이지에 있는 갤러리(http://consc.net/pics/)에 들어가곤 한다. 처음 이 곳을 알게 된 것은 한국 철학자들 몇몇을 검색하던 중 2008년 세계 철학자 대회(서울, 제22회) 사진 갤러리를 발견한 때였다. 한국의 유명한 교수들(정대현, 선우환, 신상규, 김기현, 윤보석 …)뿐 아니라 해외의 유명한 교수들 중 당시 참석한 스캇 솜즈, 허먼 캐플런, 앨빈 골드먼과 앨런 기버드(이른바 AG*2), 티모시 윌리엄슨, 브라이언 맥러플린 등의 당시 사진이, 아주 인간적인(즉, 주취한) 모습과 함께 올라와 있다.

또 ‘언어적 논쟁 및 그 철학적 의의’ 컨퍼런스(2015)에는 존 호손, (또다시) 티모시 윌리엄슨 등 이미 이름을 들어 알던 철학자들은 물론, 팀 버튼, 사이안 도어, 제레미 굿맨같이 비교적 최근에 알게 된 철학자들의 ‘인간적인’ 사진들이 또한 올라와 있다. (앨 하이에크는 위와 아래 갤러리에 모두 있다. 챠머스 애인이라도 되나?) ‘카르납 이후의 형이상학’ 컨퍼런스 전후 리즈에서 찍은 사진들에도 테드 사이더같은 이의 사진이 여럿 올라와 있다.

좀 식민지 지식인같은 소리긴 한데, 글로만 만나던 철학자들을 사진을 통해, 특히나 1급 철학자의 홈페이지 갤러리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퍽 즐거운 일이다. 1급 학술지에서 날고 기는 철학자(지금 다른 갤러리를 보니 에두아르 마셰리, 매티 에클룬드, 스티븐 야블로[야블로는 내가 알기로 해스랭어의 남편이다], 폴 보고시안, 샐리 해스랭어, 크리스 피코크, 데이빗 플런켓, 알렉스 번, 하티 필드, 네드 블락 등의 사진도 있다)들의 생생한 모습을 보면 적어도 나랑 다른 세계에 살진 않는다 싶은 안도감이 든다.

Read more

진리확정자 그리고 두 종류의 현실주의

가브리엘 콘테사는 이 논문에서 양상 현실주의를 '순한맛'(softcore) 현실주의와 '매운맛'(hardcore) 현실주의로 구별한다. 전자는 스톨네이커로 대표되는 전통적 현실주의이고, 후자는 성향주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현실주의이다. 저자는 후자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고 전자에 대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매운맛 현실주의를 옹호하고자 시도한다.

변화들: 다시 여는 말

블로그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1. 주소를 바꿨다(https://philtoday.kr).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고, 뉴스레터와 연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계획하던 생각이다. 이에 맞추어 외부용 메일(wj@)과 뉴스레터용 메일(newsletter@) 역시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명함에 반영해야지. 2. 블로그 이름도 바꿨다. “백야”를 버리고 “오늘의 철학”으로 왔다. 사적인 공간의 이름이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