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서와 원서

페북에도 올려뒀다.


예전에 한창 하나의 이름을 통한 번역서와 원서의 동시 지시가 어떻게 가능한지 의문을 가졌던 기억이 있다. 첫째 계기는 텍스트성 발표였고, 다른 계기는 <언어철학연구> 세미나에서 다룬 흥미로운 사례(‘일리아드’는 고유명인가 집합술어인가?)에서였다.

가능한 답변이 서너 개 있다. 강도 순으로 정렬하자면 이렇다. 1) 명제적 동일성, 2) 명제 간 대응, 3) 명제 간 호환, 4) 공동체의 승인과 유사성. 가장 약한 것으로 5) 임시변통적 내지 6) 계보적 연관을 들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강력한 답변이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런데 1~4도 그렇게 좋은 답을 내지는 못한다. 1이 갖는 문제는, 책은 자연언어로 쓰였다는 데에 있다. 따라서 원서의 내용이 내포하는 명제와 번역서의 내용이 내포하는 명제 사이에는 필연적 차이가 있다.

그렇다면 내용 상 대응이 된다고 하면 어떨까? 예컨대, 한 작품이 내포하는 바를 구조화하여 <p1, p2, …, pn>으로 순서화한 뒤에 번역서가 내포하는 바를 <qm+1, qm+2, …, qm+n>로 구조화하여 pn과 qm+k가 각각 대응될 때, 하나를 다른 하나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번역서가 번역 언어에서의 자연스러움을 위해 구조를 미세하게 변경하는 경우 성립하기는 어렵다.

2를 다시 약화하면 3이 된다. 이 때에는, 원서의 명제들을 느슨히 구조화한 뒤 그 구조들을 부분집합으로 갖는 P와, 번역서의 Q를 두고 P와 Q가 동일한 구조를 가질 경우 둘은 원서-번역서의 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해명은 번역 관계를 과하게 느슨하게 설정할 위험을 갖고 있다.

이쯤 되면 4가 나올 법하다. “그런 기준은 없고, 그냥 그걸 번역서로 하는 공동체적 기준과 책들 사이의 가족 유사성에 따라 두 책이 번역 관계를 갖는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존재론적 문제가 생긴다. 공동체의 기준에 관해서는, 우리는 어떤 이가 번역한 뒤 죽어서 땅에 묻힌 두 유물이, 현존하는 공동체의 승인 없이도 번역 관계를 갖고 있지만 단지 그것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를 상상할 수 있다는 점이 반론이 된다. 가족 유사성에 관해서는, 우연히 같은 내용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두 글이 번역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님을 통해 반박할 수 있다.

6은 4의 문제를 해소하게끔 하는 것 같다. 하나의 책과 다른 한 책이 계보적 연관을 가질 경우, 그리고 그와 동시에 공동체적 기준에 따라 번역이 승이된 경우 두 책은 번역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때에도 유물의 경우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혹여 이에 대해 ‘이후에 두 작품이 번역 관계에 있다고 승인함에 따라 작품 간 관계가 설정된다’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이 해명은 존재론적 문제와 인식론적 문제를 혼동한 것일 뿐이다.

이상의 경우를 모두 배제하고 생각할 만한 것은 번역서와 원서를 모두 묶는 상위집합이 있고, 동시지시되는 경우는 그 집합을 외연으로 갖는 술어가 사용되는 경우라고 해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적절한지 잘 모르겠다. 또 전에 교수는 이런 해명을 보고 ‘그거 맞다고 하려면 통사론부터 공부하세요’라고 하기도 했다(…)

결론) “번역서와 원서는 어떻게 ‘같은 책’으로 여겨지는가?”에 잘 대답하고 있는 자료를 찾습니다..

(덧-180724/ 이 문제에 대해 변광배(2012)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가장 느슨한 번역 규정을 채택한다. 반면 박두운(1989)은 프랑스의 ‘등가성’개념을 변광배처럼 도입하면서도 구조적 등가성에 따른 번역서-피번역서 간 동일성을 주장한다. 박용삼(2000)은 독일 철학의 영향인지 가장 강한 번역 이론(상기한 1에 해당하는)을 코제리우로부터 가져오는데, 그렇게 유쾌한 결론을 주지는 않는다.)


10/17 지금 생각: 3이 맞다.

Read more

진리확정자 그리고 두 종류의 현실주의

가브리엘 콘테사는 이 논문에서 양상 현실주의를 '순한맛'(softcore) 현실주의와 '매운맛'(hardcore) 현실주의로 구별한다. 전자는 스톨네이커로 대표되는 전통적 현실주의이고, 후자는 성향주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현실주의이다. 저자는 후자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응하고 전자에 대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매운맛 현실주의를 옹호하고자 시도한다.

변화들: 다시 여는 말

블로그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1. 주소를 바꿨다(https://philtoday.kr). 보다 오랫동안 사용하고, 뉴스레터와 연계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계획하던 생각이다. 이에 맞추어 외부용 메일(wj@)과 뉴스레터용 메일(newsletter@) 역시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명함에 반영해야지. 2. 블로그 이름도 바꿨다. “백야”를 버리고 “오늘의 철학”으로 왔다. 사적인 공간의 이름이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