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백야

옛백야

Wordpress에서 블로깅하던 시절의 포스트들
15
9월

진리 체계의 여러 형태들

각각의 진리 체계는, 어떤 것에 관한 진술들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페아노 공리계에 기초한 산술 체계는 수에 관한 진술들로 이루어진다. 국어 문법에
5 min read
07
9월

이래갖고

세상을 새롭게 하겠습니까 나는
28
8월

메타존재론

나는 나를 소개할 때 “메타존재론”의 주제에 관심이 많다고 말한다. 메타존재론이란 무엇인가? 존재론에 있어 문제되는 사안 일반을, 그 존재론 밖에서
3 min read
21
8월

20190821 국회의사당 앞

낙태 합법화에 이어 존엄사법 제정을 이행하라는 진보적 목소리를 보고 계십니다(?)
25
7월

사상 종속적 철학은 가능한가?

어떠한 사상에 따르는 철학, 예컨대 여성주의적 철학이나 기독교 신학적 철학, 맑스주의적 철학은 가능한가? 그것들 각각은 때로 줄여서, 여성철학/기독교철학/맑스철학으로
4 min read
12
7월

하나님의 위로

사람들이 많이들도 죽는다. 부고를 자주 접할 나이가 된 것인가, 싶다가도, 그래도 그렇지 이 나이에 이렇게, 라는 생각이 들 딱 그만큼
3 min read
09
6월

성령강림 혹은 부활

* 성령강림주일을 맞는다. 동시에 이한열의 죽음을 맞는다. 동시에 동료 친지의 부고를 맞는다. * 성령의 강림과 성도의 죽음은 어떠한 관계도 없어보인다. 그러나 실상
3 min read
08
6월

죄의식과 잘못

* 죄의식과 잘못 사이에는 종종 괴리가 있다. 잘못은 어떤 사건의 유형인 반면 죄의식은 어떠한 사실에 있어 그 부정적 책임을 스스로에게 지우는
1 min read
07
6월

철학의 보수성

* 통념보다 철학은 보수적인 작업을 하는 학문이다. 가장 정치적 실천을 중시하는듯 보이는 프랑스 현대 철학도 그렇다. 이른바 “생성의 철학”과 “진리의
3 min read
30
5월

뿌리들

* 크래머의 “해석학 비판: 해석철학과 실재론”을 읽는다. 독일 철학과 프랑스 철학을 주로 잇대는 우리의 경향에는 의아하게도, 그는 콰인과 로티, 데이빗슨과
2 min read